[패스트캠퍼스] 데이터마케팅 강의 - 5주차 학습일지
[패스트캠퍼스] 국비지원 데이터마케팅 강의 5주차
#패스트캠퍼스 #내일배움카드 #국비지원교육 #K디지털기초역량훈련 #데이터마케팅첫걸음시작하기
[디지털 마케팅 실습]
- 구글 애즈?
구글애즈(Google Ads)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셀프서빙 광고 프로그램으로,
기존에는 구글 애즈워드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었다가 2018년에 바뀌었다고 한다.
구글 애즈는 아래 링크를 통해서 들어갈 수 있으며, 현재에는 신규 프로모션도 진행중이다.
신규 프로모션은 처음으로 구글 애즈를 사용하는 신규 광고주를 대상으로 하며,
광고비로 60만원을 지출하는 경우, 나중에 60만원의 광고 크레딧을 주는 내용이다.
이런 프로모션들을 잘 활용해서 광고를 집행할 때 작은 혜택이라도 받는게 좋을 듯 하다.
Google Ads - 손쉬운 온라인 광고로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하세요
나에게 중요한 결과를 달성하세요
ads.google.com
패캠 강의에서는 강사님이 실제로 구글 애즈를 통해서 캠페인을 운영 중이신 듯 했다.
하지만 나의 경우에는 아직 생성을 해둔 캠페인이 없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.
현재 화면에서는 구글애즈 개요 탭에서 클릭수와 노출수, 평균 CPC, 비용에
관련해서만 볼 수 있는 것처럼 되어 있지만 실제 진행되고 있는 캠페인에서는
더욱 다양한 부분에 대한 인사이트를 대시보드에서 살펴볼 수 있는 듯 했다.
우선 강의에서와 동일하게 캠페인 목표는 웹사이트 트래픽으로 설정하고,
캠페인 유형은 디스플레이로 선택하여 캠페인을 생성해보았다.
당시 광고 세팅 프로세스랑 조금 다른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, 대략적으로는 비슷했다.
캠페인 설정에서 타겟팅 위치를 모든 국가에서 - 대한민국으로 설정하고,
캠페인의 평균 일일 예산을 1,000,000원으로 선정하니
사이드에서의 주간 예상 부분과 예상 실적 부분이 표시된다.
일단은 일일 예산 백만원 기준으로 했을 때 클릭수는 약 1.7만에서 12만이다.
아직 다른 부분들에서 세세하게 기준이 잡히지 않았기도 하고, 머신러닝을 통한
최적화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기도 했기 때문에 추정치가 굉장히 브로드하다.
타겟팅 부분에서는 기본으로 타겟팅 최적화가 설정되는 듯 했고, 세부 카테고리에서는
잠재고객 세그먼트, 인구통계, 키워드, 주제, 게재위치에 대해서 타겟팅 할 수 있다.
타겟팅 세팅을 완료하게 되면 이처럼 광고제작에 관련해서 설정을 할 수 있다.
해당 부분에서는 최종 랜딩 URL, 업체명, 이미지, 로고, 동영상, 광고제목, 설명에
대해서 세팅이 가능하며 이미지는 최대 15개까지 추가가 가능하다.
여기서 주요하게 볼 만한 포인트는 가로이미지와 정사각형 이미지가 1개 이상
필요하다는 점인데, 노출되는 게재위치에 따라서 사용되는 소재가 달라서 인듯 하다.
이런식으로 설정을 마치게 되면 옆에서 보는 것과 같이 광고 예시를 볼 수 있다.
웹사이트 및 앱은 물론 유튜브 및 Gmail에서 보는 화면까지 확인 가능하다.
이 단계까지 가게 되면, 최종적으로 세팅한 캠페인에 대해서 검토할 수 있고
만약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위 처럼 오류 안내와 설명이 나오게 된다.
오류 부분을 수정하고 나면 캠페인이 제출되었다는 화면이 뜬다.
지금 해당 구글 애즈 계정에서는 결제 수단을 등록하지 않았기 때문에
광고를 검토할 수 없다고 나오며, 그래서 고객에게 게재되지는 않는다.
실제로 세팅을 한다고 해서 광고비가 바로 지출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
케이스 스터디로 다양한 제품/서비스에 대해서 캠페인을 만들어 보면 좋을 듯 하다.
구글 애즈 관련한 내용은 아래 구글 애즈 고객센터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으니
중간에 세팅하다가 막히는 점이 있으면 아래에서 해당 문제를 찾아보도록 하자.
Google Ads 고객센터
support.google.com